프리뷰어 아르바이트 경험기

프리뷰어
프리뷰어는 프리뷰를 작성하는 이를 의미한다. 프리뷰가 무엇인가. Preview. 한문 단어로 하자면 사전검토(事前 檢討), 순 우리 말로 하자면 미리 보기. 미리 본다는 말이고, 그 미리 보는 사람을 프리뷰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말만으로는 무슨 일인지 감이 안잡힐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누군가 보고 참조할 뭔가를 미리 보고 작성하는 사람을 프리뷰어라고 한다. 누가 볼까? 미리 볼 시간 조차 없이 바쁜 사람이 되겠다. 뭔가는 그 바쁜 사람이 시키는 것이 되겠다. 가장 일반적인(?) 프리뷰어 아르바이트는 방송국의 프리뷰어이다. 촬영한 영상물을 미리 보고 대사를 받아 적는 상당히 단순한 업무이다. 누군가를 인터뷰하는 촬영물이라면 인터뷰 내용을 받아 적으면 된다. 자 이제 "방송국" 프리뷰어에 대해 알아보자.

필요한 것들

딱히 필요한 것은 없는 편이다. 뭔가를 받아적는 일이니 컴퓨터를 잘 다뤄야 하고 타이핑이 빨라야 하며, 방송국에서 일을 하니 방송과 관련된 기술을 알아야 한다. ……고 생각하면 이 일을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컴퓨터는 켜고 끌 수 있으며, 워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글자를 입력하고 저장한 뒤 종료할 줄 아는 정도이면 된다. 어차피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일을 하는 것도 아니요, 거창한 편집을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방송 관련된 사항 역시 테이프 재생기(??)의 사용법만 5분간 지도 받으면 끝날 정도로 매우 쉽다. 다만 타이핑이 빠르면 유리하다. 무엇이? 시급을 올리는 데 유리하다. 왜 그럴까? 테이프 하나 다 받아 적는데 몇 시간이 걸리건 받는 금액은 같다. 테이프 하나 값이다. 만일 버벅대서 30분 짜리 테이프를 3시간의 시간을 소요하여 완료했고 30분 짜리 테이프의 단가를 7,000원이라고 합의했다면 시급 2,333원 꼴이 된다. 하지만 30분 짜리 테이프를 1시간 만에 끝내면 시급은 7,000원이 되는 것이다.

이외 필요한 것은 개인 노트북 정도가 되겠다. 일을 맡기는 이들(주로 방송 작가들이나 자료 조사 담당자들이다)이 노트북을 빌려주기 때문에 꼭 없어도 상관 없다. 다만 있으면 좀 더 일을 받는데 유리할 수 있으며 단가에 개인 장비 사용의 명목의 비용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일을 전문적으로 장기간 하지 않는데 굳이 없는 노트북을 살 필요까지의 이득은 아니니 없어도 된다.

일은 얼마나 있을까

방송국이 모두 망하거나 혹은 방송국들이 갑자기 한량스럽게 프로그램을 제작하지 않는 한 일거리는 끝없이 제공 받을 수 있다. PD들이나 방송 작가들은 프리뷰를 할만큼 시간이 많지 않다고 주장하기 때문에(실제로 그러한 지는 내가 직접 보지도 못했고, 왜 바쁜지 누군가 가르쳐주지도 않았다) 일일이 촬영한 인터뷰 등을 멍하니 앉아 감상할 수 없다. 때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문서가 필요하고, 그런 문서를 작성하는 이들이 프리뷰어이다. 즉 일거리는 걱정 안해도 된다.

중요한 건 일거리가 아니라 일할 장소이다. 일은 편집실에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테이프를 이리 저리 돌려볼 수 있는 곳이 편집실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편집실은 방송국의 프로그램 수와 비교했을 때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즉 아무리 일거리가 많아도 일을 할 편집실을 잡지 못하면 일을 전혀 진행할 수 없다. 그래서 프리뷰어로서 깊이 활동하는 이들은 이른 아침 시간대에 편집실을 예약하여 늦게까지 일을 확 해버린다. 보통 오후 시간대에는 편집실 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나(한날)는 주로 밤에 가서 새벽까지 일을 하고 아침에 귀가하곤 했다.

얼마나 벌 수 있나

그렇다. 중요한 건 돈이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은 본업으로는 할 수 없는 무언가를 하기 위해 수입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다. 방송 프로그램마다 다르지만 대게 30분 짜리 테이프 하나당 7,000 ~ 10,000원 사이를 받는다. 물론 2003년 4분기를 기준으로 말하는 것이다. 내가(한날이) 했을 때가 2003년 4분기 였기 때문이다. 전문적으로 프리뷰어로 활동하는 이는 한 달에 120~150여만원을 번다고 하지만 직접 통장을 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확신은 할 수 없다.

좋은 점은?

폼이 난다. 방송국에서 자료 조사 하는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해보면 주위 시선이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두 번째는 육체적으로 크게 힘들지 않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장점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방송국 사람들과 친분을 쌓을 수 있다는 것인데 본인(한날)의 경우 숫기가 적어 그런 넉살은 부리지 못했다.

듣는 집중력이 좋아지는 점도 있다. 특별히 훈련이 된 사람이거나 성격이 타인의 말 하나 하나에 집중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 대다수의 사람들은 타인의 말을 대게 건성으로 흘려 듣는다. 즉 자기가 듣고 싶어하는 대로 생각하는 대로 재각색해서 머리에 입력한다. 안그럴 거 같다면 주변 사람 한 명 잡아서 10~20초 정도의 문장을 말해준 뒤 최대한 똑같이 말해보라고 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은 일부 단어만 기억해낼 것이다.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100%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누가 그랬던가. 자신의 생각을 30%만이라도 전달하면 그 사람의 화법은 훌륭한 것이라고. 이를 역이용하면 상대방의 말을 최대한 적은 횟수로 이해해내면 대인 관계에 있어 그만큼 유리하다. 사회에서는 이런 사람들을 일을 잘 하는 사람이라고 부른다. 프리뷰어는 방송 촬영물을 듣고 받아적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당연히 듣는 훈련이 엄청 될 수 밖에 없다. 테이프 10개만 해도 아마 예전보다 타인의 말이 귀에 더 선명하게 들리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어려운 점은 물론 받아 적는 것이 어렵다. 어려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발음이 불분명하거나 말이 너무 빨라서, 혹은 불필요한 단어를 많이 사용하며 말을 해서 말하는 것을 쉽게 알아내기 힘든 점이다. 아래의 문장을 7초 동안 발음을 하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이다. 말끝을 흐리면 더욱 효과적이다.

음..사실 그렇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재벌 총수드르 불법 부전 행이는 어제 오늘 이리 아니지 않은가…라고 생각이 드는데..사실 …에..재벌 총수들은 정치 자금..음..XXX당이 프로 비즈니스 성격의 당이다보니..

이걸 받아적으면

받아적기 :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재벌 총수들의 불법 부정 행위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재벌 총수들은 프로 비즈니스 성격의 XXX당에 정치 자금을 ..

이렇게 된다. 간혹 술 먹은 이를 인터뷰하면 단어 불문하고 비슷한 발음으로 말을 하는 통에 귀에 구멍 뚫리게 같은 말을 반복해서 들어야하는 경우도 있다. 또 다른 어려운 점은 전문 용어이다. 특히 한자어가 많아 동음이의어가 많은 경제쪽의 경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곳

KBS : http://www.kbswriter.com

SBS : http://www.sbswriter.com

MBC : http://www.mbcwriter.com

질문/답변

첫 번째 질문 (전자우편/2006년 6월 7일)

질문자 : 정** (ka******a@na***.com)
질문 내용 : 경험이 전혀 없다 보니 구인 글을 보아도 선뜻 할 용기가 나지 않습니다. 프리뷰어가 하는 일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잘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주의할 점과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프리뷰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방송물을 미리 보는 사람입니다. 편집을 하지 않은 녹화물을 미리 보고 녹화 중 있었던 말들을 글로 적는 일을 합니다.

스펀지라는 방송을 보면 수시로 화면에 자막이 나옵니다. 이 자막에는 재미를 위해 작가나 PD가 임의로 넣는 것도 있고, 사람들의 말을 그대로 자막으로 넣어 이해를 돕기도 합니다. 프리뷰어가 녹화물을 보고 쓴 문서는 후자 용도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궁금증에 대해 그쪽 전문가의 자문을 듣는 장면(Scene)이 있을 때, 이 전문가의 말은 정보 전달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 전문가는 방송에 적합한 발성이나 억양을 잘 몰라 평소처럼 자문 말을 해서 시청자들이 그 전문가의 말을 제대로 알아 듣지 못할 수도 있고, 혹은 말이 너무 빠르거나 사투리를 써서 못알아들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이 전문가의 말을 자막으로 넣는다면 시청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방송 제작진들이 이런 자막을 넣기 위해서는 방송을 직접 보고 내용을 완전히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 일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60분 분량 방송물은 약 300~500분 분량의 녹화물에서 편집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막을 넣기 위해 녹화물 속의 말들을 모두 알아들을 때까지 300~500분 분량 녹화물을 계속 반복해서 들어야 합니다. 늘 시간에 쫓기는 방송 제작진들 입장에선 참 곤혹스럽지요.

그래서 이런 일을 프리뷰어 아르바이트생에게 맡깁니다.

방송물에 따라서 프리뷰어가 작성한 문서 용도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프리뷰어 이름을 곰곰히 생각해보면 하는 역할은 대체로 같습니다. 미리 녹화물을 봐둬서 제작진들이 방송물로 재구성하지 좋게 도움을 주는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도움은 녹화물을 보고 그 안에서 나오는 말들 중 대본에 없는 말들을(대체로 인터뷰나 자문 등) 문자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잘하는 방법은 하려는 방송물 분야에 지식과 낱말을 미리 익혀두는 것입 니다. 시사/교양 방송물들은 전문 용어나 그쪽 분야에서 일하지 않는 사람에겐 생소한 낱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특히, 사람 이름이나 뜻을 알 수 없는 낱말이 나오면 잘 알아듣지 못하기 쉽습니다. 인터뷰를 하는 사람이 아나운서처럼 정확한 발음을 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기 때문에 더 고생합니다.

전혀 못알아듣겠다 싶은 부분은 제작진이 처리해주긴 합니다. 하지만, 말을 받아 쓰며 문장을 구성하려면 모르는 낱말이 적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이 쓴 문장이 올바른지 그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프리뷰어 구할 때 방송물의 분야를 미리 알립니다. 연락해서 주제나 내용을 미리 물어보신 뒤 그쪽 분야에 대해 미리 공부(?) 해두시면 일 할 때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잘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막연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실제 일은 대단히 간단하고 단순합니다. 듣기와 시간과 벌이는 싸움이지, 어떤 기술이나 재능을 요구하는 일은 아닙니다. 때문에 이 일을 할까 말까 결정하는 것이 문제이지, 막상 하기로 결정했다면 직접 방문해서 간단히 설명 듣고 직접 부딪히는 정도로도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일입니다.